
사슬로 배우는 블록체인 첫걸음
- 지은이이재인
- ISBN : 9791194409304
- 25,000원 (eBook 20,000원)
- 2025년 10월 01일 펴냄
- 페이퍼백 | 232쪽 | 152*224mm
- 시리즈 : 해킹과 보안
책 소개
책 소개
"블록체인, 우리가 놓친 진짜 이야기"
코인 투자 열풍에 가려진 블록체인의 본질을 밝히다
"블록체인은 너무 어려워서 이해할 수 없다", "코인 투자를 위한 기술일 뿐이다", "결국 누군가가 통제하는 시스템이다", "일반인은 진짜와 가짜를 구별할 수 없다"— 이 모든 것은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책은 사토시 나카모토가 처음 설계한 블록체인의 원형부터 시작해 오늘날 변질된 모습까지 차근차근 살펴보며, 우리가 놓쳤던 블록체인의 진실을 하나씩 밝혀낸다. 특히 100% 탈중앙화를 구현한 사슬(SASEUL)이라는 실제 사례를 통해, 진짜 블록체인이란 그 누구도 통제할 수 없는 독립적인 시스템임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사실 블록체인을 이해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합의 방식, 탈중앙화 구분, 블록 저장 방식이라는 세 가지 핵심 개념만 제대로 알면, 누구나 진짜 블록체인과 가짜를 구별해낼 수 있다. 기술적 배경 지식이나 투자 경험은 전혀 필요하지 않다. 블록체인의 역사와 철학을 따라가며 우리 사회에 널리 퍼진 오해들을 하나씩 바로잡다 보면, 어느새 스스로 진짜 블록체인을 알아보는 확실한 안목을 갖추게 될 것이다. 이 책이 바로 그 여정의 든든한 첫걸음이 되어줄 것이다.
목차
목차
- 1부. 블록체인이란 무엇인가?
- 1장. 블록체인의 역사
- 1.1 비트코인의 탄생(2008~2014)
- 1.2 이더리움의 등장(2015~2017)
- 1.3 블록체인의 난립(2018~ )
- 1.4 새로운 기술의 개발: 사슬
- 1.5 마무리하며
- 2장. 블록체인이란?
- 2.1 블록체인의 정의
- 2.2 블록체인 기초 용어
- ① 트랜잭션
- ② 블록
- ③ 서버와 노드
- ④ 탈중앙
- ⑤ 원장
- ⑥ 합의 알고리즘
- ⑦ 보상체계
- 2.3 마무리하며
- 3장. 블록체인의 특징
- 3.1 탈중앙화, 확장성, 보안성의 트릴레마
- ① 탈중앙화
- ② 확장성
- ③ 보안성
- ④ 트릴레마
- 3.2 빠르기만 한 블록체인의 문제
- ① 기존 시스템과의 차별점 희석
- ② 풀리지 않는 저장 공간 문제
- ③ 블록체인의 두 가지 속도
- 3.3 블록체인의 장단점
- ① 데이터 보안과 위변조 방지 측면
- ② 시스템 구조의 유연성과 관리 측면
- ③ 탈중앙화로 인한 신뢰 구조
- ④ 확장성과 성능 문제
- ⑤ 경제적 인센티브와 참여 구조
- ⑥ 결론
- 2부. 3세대 블록체인, 사슬
- 4장. 사슬의 역사
- 4.1 사슬의 시작
- 4.2 사슬의 완성: 프라이빗 블록체인( ~2019)
- 4.3 사슬의 진화: 퍼블릭 블록체인 메인넷
- 5장. 사슬의 합의 알고리즘
- 5.1 PoW
- ① PoW란 무엇인가?
- ② PoW의 보상 구조와 블록 생성
- ③ 블록 확정의 지연과 PoW의 안정성
- ④ PoW의 장단점과 블록체인의 철학
- 5.2 PoS
- ① PoS란 무엇인가?
- ② PoS의 블록 생성 방식
- ③ 예치 지분과 보상의 관계
- ④ PoS의 한계
- ⑤ PoS는 블록체인의 미래일까?
- 5.3 HAP-2
- ① 가설수락절차란 무엇인가?
- ② HAP-2의 블록 생성 방식
- ③ HAP-2의 장단점
- ④ 정리하며
- 6장. 사슬의 특징
- 6.1 스마트 컨트랙트
- ① 스마트 컨트랙트란 무엇인가?
- ② 사슬 스마트 컨트랙트의 특징
- 6.2 이중 체인
- 6.3 저장 공간 확보
- ① 머클트리란?
- ② 머클트리의 활용
- ③ 데이터 보관의 보상 구조 설계
- 6.4 스마트 컨트랙트 동시 처리
- ① 전통 방식: 브릿지
- ② 스마트 컨트랙트의 동시 처리
- ③ 실제 적용: NFT 발행 티켓 구매
- 6.5 사회적 랜덤의 구현
- 7장. 사슬의 가치
- 7.1 사회적 의의
- 7.2 경제적 의의
- 7.3 문화적 의의
- 7.4 기술적 의의
- 3부. 블록체인에 대한 오해와 질문들
- 8장. 지갑
- 8.1 지갑이란?
- 8.2 A지갑에서 B지갑으로 전송이 가능한가요?
- 8.3 핫 월렛과 콜드 월렛
- 8.4 시드 구문, 개인키, 키파일
- 9장. 코인과 토큰은 무슨 차이인가요?
- 9.1 메인넷 유무의 차이
- 9.2 기술적 정의: 생성 위치의 차이
- 9.3 쓰임과 경제적 역할
- 9.4 생성 난이도와 구조의 차이
- 9.5 분배 구조와 소유권
- 9.6 결론
- 10장. NFT는 무엇인가요?
- 10.1 NFT란 무엇인가?
- 10.2 기존 NFT의 한계
- 10.3 사슬에서 바라보는 NFT
- 11장. 비트코인이 1초 만에 전송되는 서비스가 가능한가요?
- 11.1 블록체인의 속도는 왜 늘 문제가 되는가?
- 11.2 1초 전송은 어떻게 가능한가? 블록체인을 벗어난 해결책
- 11.3 레이어 2의 구조적 한계
- 11.4 레이어 2는 결국 또 다른 ‘중앙 시스템’인가?
- 11.5 결론: 빠른 속도보다 중요한 것
- 12장. 블록체인도 해킹을 당했다는데, 해킹이 가능한가요?
- 12.1 블록체인과 관련된 해킹의 실제 대상들
- ① 암호화폐 거래소
- ② 브릿지
- ③ 지갑 애플리케이션
- ④ 개인의 관리 소홀
- 12.2 51% 공격으로 해킹이 가능하지 않나요?
- 13장. 사슬은 모바일 채굴이 불가능한가요?
- 13.1 에어드랍이란?
- 13.2 모바일 채굴의 현실
- ① 채굴의 경쟁 환경
- ② 전력 소모와 발열 문제
- ③ 경제성 부재
- ④ 모바일 채굴 애플리케이션
- ⑤ 예외적인 경우: 소규모 프로젝트
- 13.3 결론
- 14장. 블록체인에서 포크가 무엇인가요?
- 14.1 포크의 개념
- ① 일시적 분기
- ② 합의 규칙 변경에 의한 포크
- 14.2 하드 포크의 기술적 난이도
- ① 탈중앙화의 한계
- ② 기술적 위험과 비가역성
- ③ 해시파워의 확보
- 14.3 하드 포크가 오래 걸리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