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악성코드 분석 시작하기 [윈도우 악성코드 분석에 필요한 개념과 도구, 테크닉]

  • 원서명Learning Malware Analysis: Explore the concepts, tools, and techniques to analyze and investigate Windows (ISBN 9781788392501)
  • 지은이몬나파 K A(Monnappa K A)
  • 옮긴이여성구
  • ISBN : 9791161754581
  • 36,000원
  • 2020년 09월 29일 펴냄
  • 페이퍼백 | 572쪽 | 188*235mm
  • 시리즈 : acorn+PACKT, 해킹과 보안

책 소개

요약

사이버 공격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악성코드 분석은 필수적인 기술이 됐다. 윈도우 악성코드를 이해할 수 있는 개념, 도구, 기술을 바탕으로 실제 악성코드 샘플, 메모리 이미지를 살펴보면서 좀 더 실증적인 악성코드 분석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이 분야에 관심 있는 초심자는 물론, 실무 경험자도 이 책의 체계적인 접근 방법과 사례를 통해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다. 침해 사고 대응, 악성코드 분석가, 시스템 관리자 등을 포함해 악성코드 분석을 배우고자 하는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악성코드 분석을 위한 안전하고 격리된 랩 만들기
■ 악성코드와 관련된 메타데이터 추출
■ 시스템과 악성코드의 상호 작용 파악
■ IDA Pro와 x64dbg를 이용한 코드 분석
■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이용한 다양한 악성코드 기능
■ 일반적인 인코딩/암호화 알고리즘을 리버스 엔지니어링하고 디코딩하기
■ 다양한 코드 인젝션과 후킹 기술
■ 메모리 포렌식을 이용한 악성코드 조사 및 헌팅

이 책의 대상 독자

사고 대응자, 사이버 보안 조사자, 시스템 관리자, 악성코드 분석가, 포렌식 실무자, 학생 또는 악성코드 분석 기술을 배우거나 향상시키는 데 관심이 있는 보안 전문가를 위한 책이다.

이 책의 구성

1장, ‘악성코드 분석 소개’에서는 악성코드 분석의 개념, 악성코드 분석의 유형, 격리된 악성코드 분석 연구실 환경의 설정을 소개한다.
2장, ‘정적 분석’에서는 악의적인 바이너리에서 메타데이터 정보를 추출하는 도구와 기술을 설명한다. 악성코드 샘플을 비교하고 분류하는 방법을 보여 준다. 바이너리를 실행하지 않고 바이너리의 다양한 측면을 파악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3장, ‘동적 분석’에서는 악성코드의 동작과 시스템과의 상호 작용을 파악할 수 있는 도구와 기술을 설명한다. 악성코드와 관련된 네트워크, 호스트 기반 식별자의 획득 방법을 배울 수 있다.
4장, ‘어셈블리 언어와 디스어셈블리’에서는 기초 어셈블리 언어의 기본 이해와 코드 분석에 필요한 기술을 설명한다.
5장, ‘IDA를 이용한 디스어셈블리’에서는 IDA Pro 디스어셈블러의 기능을 설명하고, 정적 코드 분석(디스어셈블리)를 수행하고자 IDA Pro를 사용하는 방법을 다룬다.
6장, ‘악의적인 바이너리 디버깅’에서는 x64dbg와 IDA Pro 디버거를 이용해 바이너리를 디버깅하는 기술을 설명한다. 디버거를 이용해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하고 프로그램의 동작을 조작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7장, ‘악성코드 기능과 지속’에서는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이용해 악성코드의 다양한 기능을 설명한다. 악의적인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다양한 지속(persistence) 방법도 설명한다.
8장, ‘코드 인젝션과 후킹’에서는 악의적인 프로그램이 정상 프로세스의 콘텍스트(context)에서 악의적인 코드를 실행하고자 사용하는 일반적인 코드 인젝션 기술을 설명한다. 악성코드가 API의 결과를 모니터링, 차단, 또는 필터링하고자 악의적인 코드로 제어를 리다이렉트할 때 사용하는 후킹 기술도 설명한다. 코드 인젝션과 후킹 기술을 사용하는 악의적인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9장, ‘악성코드 난독화 기술’에서는 악의적인 프로그램이 정보를 은닉하고 숨기고자 사용하는 인코딩, 암호화, 패킹 기술을 설명한다. 데이터를 디코딩/복호화하고 악의적인 바이너리를 언패킹하는 다양한 전략을 설명한다.
10장, ‘메모리 포렌식을 이용한 악성코드 헌팅’에서는 메모리 포렌식을 이용해 악의적인 컴포넌트를 탐지하는 기술을 설명한다. 메모리에서 포렌식 아티팩트를 탐지하고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Volatility 플러그인을 배울 수 있다.
11장, ‘메모리 포렌식을 이용한 고급 악성코드 탐지’에서는 고급 악성코드가 포렌식 도구에 탐지되지 않고자 사용하는 은닉 기술을 설명한다. 유저 모드와 커널 모드 루트킷 컴포넌트를 조사하고 탐지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