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리눅스 바이너리 분석 [리눅스 바이너리와 메모리 해킹 매뉴얼]

  • 원서명Learning Linux Binary Analysis (ISBN 9781782167105)
  • 지은이라이언 오닐(Ryan “elfmaster” O’Neill)
  • 옮긴이김창엽, 강민철
  • ISBN : 9788960779136
  • 30,000원
  • 2016년 09월 23일 펴냄
  • 페이퍼백 | 320쪽 | 188*235mm
  • 시리즈 : acorn+PACKT

책 소개

소스 파일은 아래 깃허브 페이지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AcornPublishing/linux-binary)

요약

이 책은 리눅스 바이너리 분석에 꼭 필요한 지식을 예제를 통해 쉽게 설명한다. 리눅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본 도구와 환경, ELF 바이너리 포맷부터 리눅스 프로세스 추적에 필요한 기술까지 리눅스 바이너리 분석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이 쉽게 배울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 리눅스 바이너리 보호와 메모리 포렌식, 커널 해킹 기술과 같이 난이도가 높은 내용도 다루고 있어 현업에서 분석 업무를 수행하는 보안 전문가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만한 지침서다.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ELF 바이너리 포맷 원리

■ 유닉스 바이러스 감염과 분석 방법

■ 바이너리 강화와 소프트웨어 안티 변조 방법

■ 실행 파일과 프로세스 메모리 패치

■ 악성코드에서 사용하는 안티 디버깅 방법 우회

■ 실행 파일에 대한 고급 포렌식 분석

■ C 언어로 작성된 ELF 도구 개발

■ ptrace를 사용한 메모리 조작

이 책의 대상 독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거나 리버스 엔지니어라면 리눅스 바이너리 분석을 배울 필요성을 느낄 것이다. 이 책은 보안, 포렌식, 안티바이러스 분야 등에 관한 대부분의 정보를 제공한다. 그뿐만 아니라 보안 전문가와 시스템 레벨 엔지니어에게도 도움이 된다. C 프로그래밍 언어와 리눅스 명령어에 대해 조금이라도 알고 있다면 학습을 시작하기에 충분하다.

이 책의 구성

1장, ‘리눅스 환경과 도구’에서는 리눅스 환경과 이 책에서 사용할 도구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2장, ‘ELF 바이너리 포맷’에서는 유닉스와 리눅스 모두에서 주로 사용되는 ELF 바이너리 포맷 컴포넌트에 대해 다룬다.
3장, ‘리눅스 프로세스 추적’에서는 ptrace 시스템 콜을 사용해 프로세스 메모리를 읽고, 코드 인젝션을 위해 메모리에 쓰는 방법을 다룬다.
4장, ‘ELF 바이러스 기술: 리눅스/유닉스 바이러스’에서는 리눅스 바이러스의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해 다루며, 각각의 기반 기술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5장, ‘리눅스 바이너리 보호’에서는 기본적인 ELF 바이너리 보호 기술을 다룬다.
6장, ‘리눅스 ELF 바이너리 포렌식’에서는 ELF 오브젝트의 어느 부분을 분석해야 바이러스, 백도어, 의심스러운 코드 인젝션을 찾을 수 있는지 알아본다.
7장, ‘프로세스 메모리 포렌식’에서는 실행 중인 프로세스에서 악성코드, 백도어, 의심스러운 코드 인젝션을 찾기 위해서는 프로세스 주소 공간을 어떻게 분석해야 하는지 배운다.
8장, ‘ECFS: 확장된 코어 파일 스냅샷 기술’에서는 심층적인 프로세스 메모리 포렌식 기술인 ECFS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대해 다룬다.
9장, ‘리눅스 /proc/kcore 분석’에서는 /proc/kcore 분석을 통한 리눅스 커널 악성코드 진단 방법에 대해 다룬다.

저자/역자 소개

지은이의 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해 혁신을 창조하는 행위다. 우리는 이 결과물을 프로그램이라 부른다. 리버스 엔지니어링은 프로그램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정확하게 분석하는 행위며, 디스어셈블러와 리버싱 도구를 이용해 프로그램의 행위를 분석하고 변경시키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는 종종 해커 본능이 요구되며, 바이너리 포맷, 메모리 레이아웃, 프로세서의 명령어 집합에 대해 반드시 정확하게 이해해야 하고 프로그램의 부분 부분을 상세히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리버스 엔지니어는 바이너리를 완성시키는 장인이다. 이 책은 독자가 리눅스 바이너리 해커가 될 수 있도록 충분한 설명과 직관을 제공한다. 누군가가 자신을 리버스 엔지니어라고 말한다면, 그것은 스스로를 엔지니어링 이상의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는 사람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진정한 해커는 코드를 작성할 뿐만 아니라 분석할 수도 있어야 한다. 바이너리와 메모리 세그먼트의 디스어셈블링을 통해 프로그램의 내부적인 동작을 변경시킬 수 있다.
나는 리버스 엔지니어링 기술을 전문가의 영역과 취미로서의 영역 모두에서 컴퓨터 보안에 적용시켜 왔다. 세부 분야는 취약점 분석, 악성코드 분석, 안티바이러스 소프트웨어, 루트킷 진단, 바이러스 제작 등으로 다양하다. 이 책에서 다루는 대부분의 내용은 컴퓨터 보안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메모리 덤프, 프로세스 이미지 재구성, 바이너리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특징적인 주제들, 가령 리눅스 바이러스 감염 및 바이러스 포렌식에 관해 다룬다. 또한 악성코드에 감염된 실행 파일과 감염돼 실행 중인 프로세스에 대해서도 분석한다. 이 책은 리눅스 리버스 엔지니어링에 관한 방대한 양의 정보를 담고 있으며, 따라서 ELF(Executable and Linking Format)에 대해 상세하게 다룬다. ELF는 리눅스 실행 파일, 공유 라이브러리, 코어 덤프, 오브젝트 파일 등에서 사용하는 파일 형식으로, 책에서 다루는 대부분의 내용은 ELF 바이너리 포맷의 복잡성을 이용한 접근법이다. ELF 섹션, 세그먼트, 동적 링킹에 대한 개념은 아주 중요하고 재미있는 내용이며, 여기서 배운 내용을 활용해 더 넓은 세상에 적용시킬 수 있다.
이 책의 목표는 리눅스 바이너리 해킹에 관해 손에 꼽을 만한 전문가로 만드는 것이다. 리눅스의 로우 레벨 해킹을 이용해 최신의 혁신적인 기술에 접근하는 문을 열 수 있으며, 리눅스 바이너리 및 메모리 패치, 바이러스 엔지니어링 및 분석, 커널 포렌식, ELF 바이너리 포맷에 대한 귀중한 지식을 다룬다. 여기서 얻은 지식을 통해 프로그램 실행과 동적 링킹에 관해 깊은 수준의 이해를 통해 바이너리 보호와 디버깅을 더욱 심도 있게 수행할 수 있다.
나는 컴퓨터 보안 연구자이면서 동시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자 해커다. 이 책은 내가 그 동안 연구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했으며, 관련된 기반 지식은 모두 증명된 내용이다.
이 책의 내용은 인터넷 어디에서도 다루지 않은 내용이다. 이 책은 연관된 내용을 하나로 묶어 리눅스 바이너리와 메모리 해킹 매뉴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결정체다.

지은이 소개

라이언 오닐(Ryan “elfmaster” O’Neill)

리버스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취약점 익스플로잇, 보안, 포렌식 기술을 다루는 보안 전문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다. 그는 EFnet, BBS 시스템, 원격 버퍼 오버플로우를 이용한 코드 실행 등을 다루는 서브컬처 컴퓨터 해커로 성장해왔으며, 이 경험을 바탕으로 어린 시절부터 바이러스와 익스플로잇 코드 작성을 통해 시스템 보안 분야에 입문했고, 컴퓨터 해킹을 위한 강력한 열정이 그를 소프트웨어 개발 및 보안 리서치 전문가로 성장시켰다. 그는 DEFCON, RuxCon 등 다양한 컴퓨터 보안 컨퍼런스에 발표자로 참석했으며, 이틀간 진행되는 ELF 바이너리 해킹 워크샵을 주관하기도 했다. 그는 파이크웍스(Pikewerks), 레비아탄 시큐티리티 그룹(Leviathan Security Group), 백트레이스(Backtrace)와 같은 우수한 기업에서 일해왔으며, 그 경험을 바탕으로 그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서의 커리어를 발전시키고 있다.
이 책은 그의 첫 번째 저서지만, 그는 이미 프랙(Phrack)과 VXHeaven 등의 온라인 저널에 실린 논문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가 작성한 출판물은 http://www.bitlackeys.org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옮긴이의 말

대다수의 현대인이 매일 인터넷을 사용해 메일을 작성하고 웹 서핑을 한다. 웹 서버, 메일 서버 등에 접근하기 위해 DNS 서버로 쿼리 전송이 수시로 이뤄진다.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접근하게 되는 서버의 점유율은 리눅스 서버가 윈도우 서버에 전혀 뒤지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국내 사용자에게 친숙한 윈도우만큼이나 리눅스에 대한 이해도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리눅스 환경 내부와 실행 파일 형식인 ELF 파일 포맷과 리눅스 악성 코드 기술에 대해 다루는 책은 많지 않다. 이 책은 리눅스의 ELF 포맷부터 고급 해킹 기술 및 분석 방법까지 예제를 통해 쉽게 설명하고 있다. 실제로 응용 가능한 코드를 하나하나 실습하며 따라갈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은 리눅스 바이너리 분석에 대한 입문서로 훌륭하다.
이 책의 원제목은 『Learning Linux Binary Analysis』로, 리눅스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본 도구와 리눅스 환경의 구성 요소들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해 리눅스 바이너리를 분석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도 어렵지 않게 따라가도록 배려했다. 리눅스 바이너리 분석이 어떤 원리로 진행되는지 설명하며 프로세스 메모리 분석를 자유자재로 다루는 방법을 예제를 통해 쉽게 알려준다. 리눅스/유닉스 바이러스의 과거와 현재, 미래에 대해 논한 뒤, 저자가 직접 개발한 분석 도구를 소개하며 리눅스 메모리 포렌식 분석 방법까지 다룬다. 그 외 리눅스 바이러스 감염 기술, 커널 해킹, 역공학 개념, 핫 패칭, 바이너리 암호화 등 리눅스 바이너리를 분석하는 데 꼭 알아야 할 사항을 요약해 독자들에게 귀중한 지식을 전수한다.
저자는 DEFCON과 RuxCon 등 다수의 보안 컨퍼런스에서 발표와 강의를 했고 분석에 사용할 수 있는 많은 도구를 개발 및 배포했다. 프랙, VXHeaven 등에 유용한 논문을 개제했다. 직접 개발한 도구의 동작 원리와 사용법을 설명하여 인터넷에서 쉽게 찾을 수 없는 내용들까지도 다루고 있다. 리눅스 바이너리 분석에 대한 저자의 뛰어난 능력을 전수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다.
이 책은 리눅스 환경에서 개발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서버를 운영하는 시스템 관리자, 악성코드를 분석하고 대응하는 보안 분석가, 그 외 컴퓨터 보안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

옮긴이 소개

김창엽

안랩에서 9년간 근무하며 악성 코드 대응 및 침해 사고 분석 업무를 수행했다. 해킹 기법과 분석 방법을 배우는 것을 즐기고 최근에는 데이터 분석과 머신 러닝에 관심이 많아 박사 과정에 진학해 연구 중이다.

강민철

안랩 ASEC 대응 팀 소속으로 악성코드 분석 및 대응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하둡을 이용한 악성코드 처리 시스템 구축과 추론 엔진 기반 대응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머신 러닝을 활용한 악성코드 분류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금융 데이터 분석을 통한 변화 예측에도 관심이 많다.

목차

목차
  • 1장. 리눅스 환경과 도구
    • 리눅스 도구
      • GDB
      • GNU binutils의 Objdump
      • GNU binutils의 Objcopy
      • Strace
      • Ltrace
      • 기본 ltrace 명령어
      • ftrace
      • readelf
      • ERESI - ELF 리버스 엔지니어링 시스템 인터페이스
    • 유용한 디바이스와 파일
      • /proc/<pid>/maps
      • /proc/kcore
      • /boot/System.map
      • /proc/kallsyms
      • /proc/iomem
      • ECFS
    • Linker와 관련된 환경 변수
      • LD_PRELOAD 환경 변수
      • LDSHOWAUXV 환경 변수
      • 링커 스크립트
    • 요약

  • 2장. ELF 바이너리 포맷
    • ELF 파일 형식
    • ELF 프로그램 헤더
    • PT_LOAD
      • PT_DYNAMIC: 동적 세그먼트에서 사용하는 Phdr
      • PT_NOTE
      • PT_INTERP
      • PT_PHDR
    • ELF 섹션 헤더
      • .text 섹션
      • .rodata 섹션
      • .plt 섹션
      • .data 섹션
      • .bss 섹션
      • .got.plt 섹션
      • .dynsym 섹션
      • .dynstr 섹션
      • .rel.* 섹션
      • .hash 섹션
      • .symtab 섹션
      • .strtab 섹션
      • .shstrtab 섹션
      • .ctors와 .dtors 섹션
    • ELF 심볼
      • st_name
      • st_value
      • st_size
      • st_other
      • st_shndx
      • st_info
    • ELF 재배열
      • 재배열 가능 코드 인젝션을 이용한 바이너리 패치
    • ELF 동적 링킹
      • 보조 벡터
      • PLT와 GOT에 대한 이해
      • 동적 세그먼트 다시 보기
    • ELF 파서 구현
    • 요약

  • 3장. 리눅스 프로세스 추적
    • ptrace의 중요성
    • ptrace 요청
      • ptrace 요청 형식
    • 프로세스 레지스터 상태와 플래그
    • 간단한 ptrace 기반 디버거
      • Tracer 프로그램
    • 프로세스 어태치 기능을 갖는 간단한 ptrace 디버거
    • 고급 함수 추적 소프트웨어
    • ptrace와 포렌식 분석
      • 메모리에서 찾아야 할 것
    • 프로세스 이미지 복원: 메모리에 있는 실행 파일로부터
      • 프로세스 실행 파일 복원 도전 과제
      • 실행 파일 복원의 문제점
      • 섹션 헤더 테이블 추가
      • 프로세스 복원 알고리즘
      • 32비트 테스트 환경에서 Quenya를 이용한 프로세스 복원
    • ptrace를 활용한 코드 인젝션
    • 중요하게 살펴봐야 할 간단한 예제
    • code_inject 도구 활용
    • ptrace 안티 디버깅 기술
      • 내 프로그램이 추적되고 있는가
    • 요약

  • 4장. ELF 바이러스 기술: 리눅스/유닉스 바이러스
    • ELF 바이러스 기술
    • ELF 바이러스 기술의 연구
      • 감염코드는 독립적으로 존재해야 한다
      • 문자열 저장 문제
      • 감염코드 저장을 위한 공간 찾기
      • 감염코드로 실행 흐름 변경하기
    • ELF 바이러스 감염 방법
      • Silvio 패딩 감염 방법
      • 리버스 텍스트 세그먼트 감염
      • 데이터 세그먼트 감염
    • PTNOTE -> PTLOAD 변경 감염 방법
      • PTNOTE -> PTLOAD 변경 감염 알고리즘
    • 제어 흐름 감염시키기
      • 다이렉트 PLT 감염
      • 함수 트램펄린
      • .ctors / .dtors 함수 포인터 오버라이팅
      • GOT: global offset table 포이즈닝, PLT/GOT 리다이렉션
      • 데이터 스트럭처 감염시키기
      • 함수 포인터 오버라이팅
    • 프로세스 메모리 바이러스와 루트킷: 리모트 코드 인젝션 기술
      • 공유 라이브러리 인젝션: .so 인젝션 / ET_DYN 인젝션
      • LD_PRELOAD를 이용한 .so 인젝션
      • open() / mmap() 셸 코드를 이용한 .so 인젝션
      • dlopen() 셸 코드를 이용한 .so 인젝션
      • VDSO 조작을 이용한 .so 인젝션
      • 텍스트 세그먼트 코드 인젝션
      • 실행 파일 인젝션
      • 재배열 코드 인젝션: ET_REL 인젝션
    • 디버깅과 패킹 기술
      • PTRACE_TRACEME 기술
      • SIGTRAP 핸들러 기술
      • /proc/self/status 기술
      • 코드 난독화 기술
      • 스트링 테이블 변경 기술
    • ELF 바이러스 탐지과 치료
    • 요약

  • 5장. 리눅스 바이너리 보호
    • ELF 바이너리 패커
    • Stub 메커니즘과 Userland exec
      • 프로텍터 예제
    • 스텁에서 수행하는 다른 작업들
    • 기존 ELF 바이너리 프로텍터
      • DacryFile(Grugq, 2001년)
      • Burneye(Scut, 2002년)
      • Shiva(Neil Mehta와 Shawn Clowes, 2003년)
      • Maya's Veil(Ryan O'Neill, 2014년)
    • Maya가 적용된 바이너리 다운로드
    • 바이너리 보호를 위한 안티 디버깅
    • 에뮬레이션 방어하기
      • Syscall 테스팅을 통한 에뮬레이션 탐지
      • 에뮬레이터 CPU 불일치를 이용한 탐지
      • 명령어 지연 체크
    • 난독화 방법
    • 제어 흐름 무결성 보호하기
      • ptrace 기반 공격
      • 취약점 기반 공격
    • 추가 자료
    • 요약

  • 6장. 리눅스 ELF 바이너리 포렌식
    • 엔트리 포인트 변조 진단
    • 컨트롤 플로우 하이재킹 진단
      • .ctors(.int_array) 섹션 패치
      • PLT/GOT 후킹 탐지
      • 함수 트램펄린 진단
    • 기생 코드의 특성
    • DLL 인젝션 트레이스의 동적 세그먼트 진단
    • 리버스-텍스트 패딩 감염 진단
    • 텍스트 세그먼트 패딩 감염 진단
    • 보호된 바이너리 진단
      • 보호된 바이너리 분석
    • IDA Pro
    • 요약

  • 7장. 프로세스 메모리 포렌식
    • 프로세스는 어떻게 구성돼 있는가
      • 실행 가능한 메모리 매핑
      • 프로그램 힙
      • 공유 라이브러리 매핑
      • 스택, VDSO, VSYSCALL
    • 프로세스 메모리 감염
      • 프로세스 감염 도구
      • 프로세스 감염 기술
    • ET_DYN 인젝션 진단
      • Azazel 사용자 공간 루트킷 진단
      • 프로세스 주소 공간 매핑 확인
      • 스택에서 LD_PRELOAD 확인
      • PLT/GOT 후킹 진단
      • ET_DYN 인젝션 자세히 보기
      • VDSO 변조
      • 공유 오브젝트 로딩: 정상적인 방법과 비정상적인 방법
      • .so 인젝션 진단 휴리스틱
      • PLT/GOT 후킹 진단 도구
    • 리눅스 ELF 코어 파일
      • 코어 파일 분석: Azazel 루트킷
    • 요약

  • 8장. ECFS: 확장된 코어 파일 스냅샷 기술
    • 역사
    • ECFS 철학
    • ECFS 소개
      • ECFS를 코어 핸들러 플러그인으로 사용하기
      • 프로세스를 종료하지 않고 ECFS 스냅샷 생성
    • libecfs: ECFS 파일 파싱 라이브러리
    • readecfs
    • ECFS를 이용한 감염된 프로세스 분석
      • 숙주 프로세스 감염
      • ECFS 스냅샷 생성 및 분석
      • readecfs를 이용한 기생 코드 추출
      • Azazel 루트킷 분석
    • ECFS 레퍼런스 가이드
      • ECFS을 이용한 심볼 테이블 재구성
      • ECFS 섹션 헤더
      • ECFS 파일을 기본 코어 파일로 사용하기
      • libecfs API 사용법
    • ECFS를 이용한 프로세스 되살리기
    • ECFS 더 살펴보기
    • 요약

  • 9장. 리눅스 /proc/kcore 분석
    • 리눅스 커널 포렌식과 루트킷
    • Stock 버전의 vmlinux는 심볼을 가지고 있지 않다
      • kdress를 이용한 vmlinux 빌드
    • /proc/kcore와 GDB 살펴보기
      • syscalltable 위치 조회 예제
    • syscalltable 직접 변조
      • syscalltable 변조 진단
      • 커널 함수 트램펄린 기법
      • 함수 트램펄린 예제
      • 함수 트램펄린 진단
      • 인터럽트 핸들러 패치 진단
    • Kprobe 루트킷
      • Kprobe 루트킷 진단
    • DRR(디버그 레지스터 루트킷)
      • DRR 진단
    • VFS 레이어 루트킷
      • VFS 레이어 루트킷 진단
    • 그 외의 커널 감염 기술
    • vmlinux와 .altinstructions 패치
      • .altinstructions와 .altinstr_replace
      • arch/x86/include/asm/alternative.h 살펴보기
      • textify를 이용한 코드 정합성 검증
      • textify를 이용한 syscalltable 검증 예제
    • taskverse를 이용한 프로세스 은닉 진단
      • taskverse 기술
    • 감염된 LKM: 커널 드라이버
      • 방법 1. 심볼 하이재킹
      • 방법 2. 함수 하이재킹
      • 감염된 LKM 진단
    • /dev/kmem과 /dev/mem에 대해
    • /dev/mem
      • FreeBSD의 /dev/kmem
    • K-ecfs: 커널 ECFS
      • kernel-ecfs 파일 살펴보기
    • 커널 해킹
      • 리버스 엔지니어링과 디버깅
      • 고급 커널 해킹 및 디버깅 인터페이스
      • 이 책에서 언급한 논문
    • 요약

도서 오류 신고

도서 오류 신고

에이콘출판사에 관심을 가져 주셔서 고맙습니다. 도서의 오탈자 정보를 알려주시면 다음 개정판 인쇄 시 반영하겠습니다.

오탈자 정보는 다음과 같이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예시) p.100 아래에서 3행 : '몇일'동안 -> 며칠동안

정오표

정오표

[p.47]
DT_STRSZ 문자열 테이블 크기
-> 내용 중복 2행 삭제

[p.48 : PT_INTERP 아래 행]
이 섹션은
->
이 세그먼트는

[p.56 : 1행]
readelf -s
->
readelf -S (섹션 테이블)

[p.56]
섹션 헤더가 12개 있고, 시작 오프셋은 0x124이다.
->
The following are 12 section headers, starting at offset 0 x 124:

[p.57]
섹션 헤더가 30개 있고, 시작 오프셋은 0x1140이다.
->
The following are 30 section headers, starting at offset 0 x 1140:

[p.59 : 4행, 12행]
readelf -s
->
readelf -S
(섹션 테이블)

[p.62]
foochu함수는 0x80480da
->
foochu함수는 0x80480d8

[p.67 : 아래에서 6행]
오브젝트 파일은 재배열 가능 코드이며 실행 파일 내 특정 섹션의 주소에 코드가 재배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오브젝트 파일은 재배열 가능 코드이며, 실행 세그먼트 내 특정 주소 위치로 재배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67 : 아래에서 3행]
즉 명령어 또는 심볼의 패치 과정은 링커에 의해 실행 파일의 세그먼트 주소가 확정된 이후 수행돼야 한다.
->
실행 세그먼트 내 명렁어나 심볼의 위치는 링커가 확정한 후에 패치해야 한다.

[p.68. : 1행]
재배열 엔트리는 가수 값을 몇 개 요구한다.
->
어떤 재배열 엔트리는 가수값을 요구한다.

[p.68 : 9행]
rinfo는 반드시 수행돼야 하는 심볼 테이블 인덱스
->
r
info는 재배치 되어야 하는 심볼 테이블 인덱스

[p.68 : 13행]
다음에서 설명할 오브젝트 파일은 32비트로 컴파일될 것이며, 따라서 암시적 가수를 사용한다.
->
암시적 가수를 설명하기 위해서 다음 예제에서는 오브젝트 파일 코드를 32비트로 컴파일할 것이다.

[p. 68]
암시적 가수는 재배열 레코드가 ElfNRel에 존재해지만 raddend필드가 없는 경우에 동작하게 된다.
->
암시적 가수는 재배열 레코드가 raddend 필드가 없는 ElfNRel에 존재하는 경우에 동작하게 된다.

[p.71: 3행]
0x80480e8 + ( ... )
->
0x80480e8 - ( ... )

[p.73 : 5행]

[p.76]
" ... 유사하지만 프로그램 인터프리터에 의해 직접 실행되지 않고 자동으로 로드만 되기 때문에 PTINTERP로 설정돼 있다."
->
" ... 유사하지만 일반적으로 PT
INTERP 세그먼트를 가지고 있지 않는데, 이는 프로그램 인터프리터에 의해 로드되는 것이지 프로그램 인터프리터를 호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p.93]
POKTEXT
->
POKE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