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de Web Development 한국어판 [웹 개발 플랫폼 노드 프로그래밍]
- 원서명Node Web Development (ISBN 9781849515146)
- 지은이데이비드 헤론
- 옮긴이손병대
- ISBN : 9788960772502
- 20,000원
- 2011년 12월 07일 펴냄 (절판)
- 페이퍼백 | 228쪽 | 188*235mm
- 시리즈 : acorn+PACKT, 웹 프로페셔널
판매처
- 현재 이 도서는 구매할 수 없습니다.
책 소개
『Node Web Development 한국어판』은 노드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핵심을 찌르는 탁월한 시작점이다. 실용적인 예제를 중심으로, HTTP 서버와 클라이언트 객체, Connect와 Express 프레임워크, 비동기 알고리즘, SQL과 MongoDB 데이터베이스 등을 배운다.
[ 소개 ]
이 책은 노드를 시작하기 위한 가장 이상적인 지침서다. 노드를 설치하는 실용적인 조언부터 시작해서 HTTP 서버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법을 배운다. 그리고 이 책은 노드의 다양한 활용법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엔진을 연동한다든가 Connect/Express 프레임워크로 웹사이트를 만들기도 하고, 이런 프레임워크 없이 개발하는 방법도 소개한다. 또한 노드의 CommonJS 모듈 시스템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또한 CommonJS 모듈 시스템을 통해 객체지향 설계의 중요한 부분을 구현한다.
[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서버 측 자바스크립트 역할의 재발견
■ 성능과 처리량을 위해 잘 알고 있는 아키텍처 선택
■ 서버 측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노드 설치와 사용
■ Connect와 Express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의 사용
■ SQL과 몽고DB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설정
■ 동기와 비동기 알고리즘의 차이점과 이 차이점이 중요한 이유
[ 이 책의 대상 독자 ]
이 책은 자바스크립트로 서버 측 개발을 하고 싶은 개발자, 즉 더 빠르고 성능 좋은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싶은 개발자를 위한 책이다. 적어도 기본적인 자바스크립트를 이해하고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경험이 있는 사람에게 권장한다.
[ 이 책의 구성 ]
1장, 노드 개요에서는 노드 플랫폼을 소개한다. 1장은 노드 사용법 외에 기술적인 측면과 설계적인 측면에서 노드를 선택한 이유를 설명한다. 그리고 노드와 서버 측 자바스크립트의 역사뿐 아니라 자바스크립트가 브라우저에 갇혀왔던 이유를 설명한다.
2장, 노드 설치에서는 노드 개발 환경을 구축한다. 물론 여러 시나리오에 따라 소스코드를 컴파일하는 과정이 포함돼 있다. 그리고 노드 서버를 맛보기로 만들어본다.
3장, 노드 모듈에서는 모듈을 설명한다. 모듈은 노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기본 단위다. 3장은 모듈을 이해하고 개발할 수 있게 안내한다. 그리고 노드 패키지 매니저(npm)도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설치된 패키지를 관리하는 여러 시나리오와 npm 패키지를 개발해 배포하는 방법도 알아본다.
4장, 애플리케이션 응용에서는 노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특히 간단한 애플리케이션을 먼저 만들어보고 이것을 Connect와 Express 프레임워크를 이용해 변형해본다. 예제로 만들 애플리케이션이 간단하므로 이벤트 루프를 이해하는 데 좋은 기회가 된다. 그리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계산과, 동기/비동기 알고리즘을 알아보고, 무거운 계산을 백엔드 서버로 처리하는 방법을 배운다.
5장, 간단한 웹 서버, 이벤트 이미터, HTTP 클라이언트에서는 HTTP 클라이언트와 서버 객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각기 만들어 서로 통신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본다.
6장, 데이터 스토리지와 검색에서는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로 하고 데이터를 오랜 기간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스토리지를 설명한다. 그리고 SQL과 몽고DB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이용해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방법과 Express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더 나은 에러 페이지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 소개 ]
이 책은 노드를 시작하기 위한 가장 이상적인 지침서다. 노드를 설치하는 실용적인 조언부터 시작해서 HTTP 서버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법을 배운다. 그리고 이 책은 노드의 다양한 활용법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엔진을 연동한다든가 Connect/Express 프레임워크로 웹사이트를 만들기도 하고, 이런 프레임워크 없이 개발하는 방법도 소개한다. 또한 노드의 CommonJS 모듈 시스템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또한 CommonJS 모듈 시스템을 통해 객체지향 설계의 중요한 부분을 구현한다.
[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서버 측 자바스크립트 역할의 재발견
■ 성능과 처리량을 위해 잘 알고 있는 아키텍처 선택
■ 서버 측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노드 설치와 사용
■ Connect와 Express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의 사용
■ SQL과 몽고DB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설정
■ 동기와 비동기 알고리즘의 차이점과 이 차이점이 중요한 이유
[ 이 책의 대상 독자 ]
이 책은 자바스크립트로 서버 측 개발을 하고 싶은 개발자, 즉 더 빠르고 성능 좋은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싶은 개발자를 위한 책이다. 적어도 기본적인 자바스크립트를 이해하고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경험이 있는 사람에게 권장한다.
[ 이 책의 구성 ]
1장, 노드 개요에서는 노드 플랫폼을 소개한다. 1장은 노드 사용법 외에 기술적인 측면과 설계적인 측면에서 노드를 선택한 이유를 설명한다. 그리고 노드와 서버 측 자바스크립트의 역사뿐 아니라 자바스크립트가 브라우저에 갇혀왔던 이유를 설명한다.
2장, 노드 설치에서는 노드 개발 환경을 구축한다. 물론 여러 시나리오에 따라 소스코드를 컴파일하는 과정이 포함돼 있다. 그리고 노드 서버를 맛보기로 만들어본다.
3장, 노드 모듈에서는 모듈을 설명한다. 모듈은 노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기본 단위다. 3장은 모듈을 이해하고 개발할 수 있게 안내한다. 그리고 노드 패키지 매니저(npm)도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설치된 패키지를 관리하는 여러 시나리오와 npm 패키지를 개발해 배포하는 방법도 알아본다.
4장, 애플리케이션 응용에서는 노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특히 간단한 애플리케이션을 먼저 만들어보고 이것을 Connect와 Express 프레임워크를 이용해 변형해본다. 예제로 만들 애플리케이션이 간단하므로 이벤트 루프를 이해하는 데 좋은 기회가 된다. 그리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계산과, 동기/비동기 알고리즘을 알아보고, 무거운 계산을 백엔드 서버로 처리하는 방법을 배운다.
5장, 간단한 웹 서버, 이벤트 이미터, HTTP 클라이언트에서는 HTTP 클라이언트와 서버 객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각기 만들어 서로 통신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본다.
6장, 데이터 스토리지와 검색에서는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로 하고 데이터를 오랜 기간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스토리지를 설명한다. 그리고 SQL과 몽고DB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이용해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방법과 Express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더 나은 에러 페이지에 대해서도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