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버네티스 마스터 2/e [강력한 쿠버네티스를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
- 원서명Mastering Kubernetes: Master the art of container management by using the power of Kubernetes, 2nd Edition (ISBN 9781788999786)
- 지은이기기 사이판(Gigi Sayfan)
- 옮긴이김경호, 배동환, 강용제, 차연철, 차원호, 이형석
- ISBN : 9791161751986
- 36,000원
- 2018년 07월 31일 펴냄
- 페이퍼백 | 584쪽 | 185*235mm
- 시리즈 : acorn+PACKT, 클라우드 컴퓨팅
책 소개
본문에 쓰인 컬러 이미지는 여기에서 내려 받으세요.
요약
쿠버네티스 아키텍처의 원리 및 쿠버네티스를 통해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설명한다. 개발자와 데브옵스(DevOps) 엔지니어, 그리고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을 사용해 복잡한 분산 시스템을 개발하고 진화시켜야 하는 개발자를 대상으로 쿠버네티스가 제공하는 모든 기능과 서비스를 다룬다. 또한 실제 사례를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 고가용성 쿠버네티스를 구축하고 모니터링하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책을 통해 쿠버네티스의 구성 방법과 특정 자원의 적절한 사용 시기, 최상의 효율로 클러스터를 구현 및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깊이 있는 지식을 얻을 수 있다.
2판에서는 쿠버네티스 1.10으로 내용이 업그레이드되면서 몇 가지 기술은 사라지거나 통합됐고, 새로운 기능도 많이 생겨났다. 1판에 이어 새롭게 추가된 다양한 기능을 익혀서 고급 쿠버네티스 사용자가 될 수 있다.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장기 운영을 위한 강력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설계
█ GCE, AWS, 애저, 베어 메탈 환경에서 쿠버네티스 실행의 이점
█ 클러스터 페더레이션의 자율성과 옵션에 대한 ID 모델 탐색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모니터링과 문제 해결 및 고가용성 쿠버네티스 실행
█ 사용자 정의 리소스를 정의, 생성, 구성 및 리소스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기능 확장
█ 컨테이너 환경에서 복잡한 상태저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술
█ 표준 패키지로 애플리케이션 제공
이 책의 대상 독자
쿠버네티스에 대한 중급 지식을 갖고 있으면서 고급 기능을 익히기를 원하는 시스템 관리자와 개발자를 대상으로 한다. 기본적인 네트워크 지식도 필요하다.
이 책의 구성
1장, ‘쿠버네티스 아키텍처의 이해’에서는 쿠버네티스 시스템을 설계하게 된 동기와 구조를 살펴본다.
2장,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생성’에서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만드는 데 필요한 다양한 옵션을 살펴본 후 도구를 이용해 클러스터를 여러 개 만들어 검사한다.
3장, ‘모니터링, 로깅, 문제 해결’에서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모니터링 및 측정을 이해하고 직접 설정해봄으로써 일상 업무에서 관리자가 직면하는 일반적인 문제를 식별하고 해결할 수 있다.
4장, ‘고가용성과 신뢰성’에서는 HA에서 쿠버네티스를 설계하고 실시간 클러스터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된다. 대규모 운영 환경을 위한 쿠버네티스 아키텍처를 설계하는 방법을 배운다.
5장, ‘쿠버네티스 보안, 제한, 계정 설정’에서는 쿠버네티스 보안과 제한, AAA통합, 네임스페이스, 서비스 계정 구성 및 실습을 수행한다.
6장, ‘중요 쿠버네티스 리소스 사용하기’에서는 운영 환경에서 최신 쿠버네티스 리소스를 적합한 곳에 알맞게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또한 이런 객체를 정의, 버전 지정, 전달하는 방법을 배운다.
7장, ‘쿠버네티스 스토리지 관리하기’에서는 영구 볼륨에 대한 쿠버네티스 스토리지 드라이버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Flocker가 작동 방법과 기존 엔터프라이즈 스토리지 (iSCSI/NFS/FC)를 쿠버네티스에 통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8장, ‘쿠버네티스를 사용해 상태저장 애플리케이션 실행’에서는 운영 작업부하에 적합한 단일 상태 저장 애플리케이션을 쿠버네티스에서 실행되는 마이크로서비스로 변환하는 방법을 배운다. 또한 쿠버네티스 1.3 이전에 PetSet 리소스를 사용할지 여부에 관계없이 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배운다. 사용 가능한 문서 리소스의 공백을 메울 수 있다.
9장, ‘롤링 업데이트, 확장성, 할당량’에서는 롤링 업데이트와 수평적 포드 자동 스케일링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한다. 운영 환경에서 스케일링 테스트를 사용자 정의하고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CPU와 메모리의 리소스 할당량을 사용할 수 있다.
10장, ‘쿠버네티스 고급 네트워크’에서는 서로 다른 배포판에 적합한 네트워킹 플러그인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며 다양한 네트워크 플러그인을 사용해 쿠버네티스를 배포하는 방법을 배운다. Iptables 로드밸런싱과 이를 확장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11장, ‘여러 클라우드와 클러스터 페더레이션에서 쿠버네티스 실행하기’에서는 쿠버네티스를 실행하면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운영 환경에 배포할 때 사용되는 다양한 옵션을 살펴본다. 아마존과 구글 클라우드 엔진(Google Cloud Engine)에서 클러스터를 프로비저닝하고 실행, 자동화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이 제공된다. 또한 지리적으로 연합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클러스터에서 제공하는 작업부하를 프로비저닝, 실행 및 자동화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이 제공된다.
12장, ‘쿠버네티스 커스터마이징: API와 플러그인’에서는 타사 리소스를 구현하고 쿠버네티스 API를 향상시키는 개념을 이해하며, 기존 환경과 리소스를 통합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스케줄러의 작동 방식과 자체 스케줄링 엔진을 구현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마지막으로 HAProxy 또는 nginx와 같은 공통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사내 구현을 위한 사용자 지정 외부 로드밸런싱을 구현하는 방법도 배운다.
13장, ‘쿠버네티스 패키지 매니저’에서는 쿠버네티스 애플리케이션을 패키지로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Helm Classic으로 시작해 쿠버네티스를 위한 Helm을 살펴보고, 운영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패키지를 유지 관리하기 위해 실제로 Helm 저장소에서 패키지를 만들고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다룬다. 또한 자신만의 쿠버네티스 패키지를 만들고 Helm 저장소에 저장하는 방법도 설명한다. 저장소에서 클러스터에 이르기까지 쿠버네티스 패키지 용 전달 파이프 라인을 알아본다.
14장, ‘쿠버네티스의 미래’에서는 쿠버네티스의 로드맵과 앞으로 출시될 제품의 기능을 알아보고, 커뮤니티, 생태계, 공유 정신(mindshare) 차원을 포함한 개념 단계부터 현재까지 쿠버네티스의 추진력에 대해 살펴본다.